[경제 용어] (1) CPI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작년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의 파월 연준 의장이 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로 인해 경기 활성화를 회복하기 위하여 양적완화에 따른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연속적으로 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 물가상승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CPI (Consumer Price Index =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입니다.
1. CPI 란?
CPI는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와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또한 이 CPI의 변동률로 인플레이션을 측정할 수 있으며 급여, 봉급, 연금, 물가를 연동시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조정 또한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B%B9%84%EC%9E%90_%EB%AC%BC%EA%B0%80%EC%A7%80%EC%88%98
소비자 물가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2. CPI와 인플레이션의 연관성
CPI의 경우 보통 전년대비 기준 상승률로 계산이 되며 아래 두 그림의 경우 1910년대부터 오늘날까지의 역대 CPI 지수와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두 차트를 보시면 CPI와 인플레이션은 거의 그래프의 모양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가 하락하여 돈의 양이 증가하고, 즉 돈보다 상품의 가치가 높아져서 상품의 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상품의 가치가 돈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품의 가격이 낮아지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를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즉 CPI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을 경우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 불황이 찾아올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의 경우 1970년대의 발생한 오일쇼크, 그리고 디플레이션의 경우는 1930년대의 대공황이 있습니다.
3. 연준은 왜 금리를 인상하는가?
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물가가 상승 시 금리를 올리게 될 경우 기존에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의 경우 이자 부담이 늘어 소비가 줄고 저축으로 몰리면서 돈을 빌리지 않게 됩니다.
즉, 시장에 도는 돈의 양이 감소하다 보니 돈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고 소비가 감소됨으로써 상품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하락을 하게 됩니다.
By. 자유로운 작가 '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