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포스팅에서 CPI 설명과 더불어 이번에는 요즘에 글로벌 주요 화두인 '인플레이션 (Inflation)'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 정의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물가의 경우 지난번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던 소비자 물가지수로 측정이 되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는 구체적인 물가의 기준이 없고 추상적입니다.
- CPI (소비자 물가 지수) 포스팅
2022.11.14 - [지식쌓기/경제] - [경제 용어] (1) CPI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경제 용어] (1) CPI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작년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의 파월 연준의장이 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로 인해 경기 활성화를 회복하기 위하여 양적완화에 따른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연속적으로 인상을 하
toby-global-challenge.tistory.com
2.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물가가 높다는 의미는 수요 증가로 인한 상품 가치가 높은 경우, 또한 상품이 생산되기까지의 비용이 증가하는 두 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이를 흔히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Demand pull inflation)' 그리고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 (Cost push Inflation)'으로 구분을 합니다.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Demand pull inflation)
- 저축의 감소로 인한 가계소비가 증가한다.
- 저금리로 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한다.
- 재정지원 (돈의 증가) 및 공공재 투자 등의 정부 지출이 증가한다.
- 투자의 증대로 해외 수출이 증가한다.
-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 (Cost push Inflation)
- 임금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
- 원자재 값 상승으로 인한 생산 위축
위의 그림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대략적은 도식도이며 앞에서 설명했던 수요 견인 및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이 합쳐져서 발생할 경우 상품 가치의 상승은 더욱 커지면서 인플레이션을 더욱 크게 만들게 됩니다.
보통 인플레이션은 경제 호황기 때 발생이 되지만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공급의 감소가 급격하게 감소할 경우 경기 침체가 우려될 수 있으며 이를 스태그 플레이션 (Stagflation)이라고 하며 스태그 플레이션은 향 후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3. 인플레이션 예시
아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역사를 알수 있는 차트이며 인플레이션의 기준이 추상적이기에 10% 이상인 부분들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1차 세계대전
1차 세계대전을 치루면서 유럽 국가들은 전쟁으로 인한 경제 피해를 복구하고 당시 유행했던 스페인 독감도 1918년부터 3년간 발생하여 세계 각 정부에서 재정정책을 펼치면서 통화량을 높였습니다. 당시 재정정책의 기준 통화가 미국의 달러이며 미국은 각 국가에 달러를 공급하며 이로 인해 10년간 경제 호황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미국의 자산시장은 증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고, 기업의 투자가 확대되면서 유럽국가들의 수출량이 증가하였습니다.
2) 2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의 경우 세계 경제 대공황의 발생으로 인해 발발하였으며 인플레이션의 경우 1940년 초기와 후기(종전 이후)에 수치가 높은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1940년대 초기에 미국은 대공황으로 인한 정부의 부양책과 당시 세계대전에서 군수 산업의 투자로 물가가 상승하였습니다.
종전 이후에는 저금리 정책이 전쟁으로 인한 부채 이자를 낮추면서 소비자들의 소비를 증가시는데 한몫을 했지만 물가가 높아지면서 미국의 부채가 이례적으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3) 브레턴우즈 및 Oil 쇼크
브레턴우즈의 경우 기존의 달러의 목적인 금과 상호 교환이 되는 금본위제를 1971년 8월에 닉슨 대통령이 폐지를 선언하면서 정해진 금의 보유량 대비 세계대전부터 무수히 많은 달러가 시장에 풀렸었는데 이 달러의 가치가 폭락을 하게 됩니다.
(이를 '닉슨 쇼크'라고 하며 해당 내용은 향후 포스팅에서 설명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달러의 가치가 상품가치보다 하락하여 물가가 치솟는데 안 그래도 고물가로 고통받는 미국에 불을 더 지피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바로 'Oil 쇼크'입니다.
Oil 쇼크는 1차 (1973 - 1974) 및 2차 (1979 - 1981)로 연쇄 발발을 했었는데 중동국들 간의 전쟁 발발과 혁명으로 인한 석유의 생산량 감산이 원인이었으며 석유의 값이 폭등하게 됩니다.
석유 값의 폭등은 곧바로 원자재 값의 상승으로 이어졌으며 미국은 닉슨 쇼크로 안 그래도 통화의 가치가 하락되었는데 원자재 값 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어마어마한 속도로 증가하여 경기 침체를 겪게 되었습니다.
By. 자유로운 작가 '토비'
'지식쌓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6) 양적 긴축 (Quantitative Tightening) (4) | 2023.01.05 |
---|---|
[경제 용어] (5)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2) | 2022.12.28 |
[경제 용어] (4)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0) | 2022.11.27 |
[경제 용어] (3) 디플레이션 (Deflation) (4) | 2022.11.18 |
[경제 용어] (1) CPI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