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준4 [경제 용어] (8) 디스인플레이션 (Disinflation) 아래 기사와 같이 올해 2월 초, 미국 연준의 파월 의장은 금리를 0.25%의 베이비 스텝으로 인상 발표와 동시에 디스인플레이션을 언급하였는데, 처음에는 디플레이션을 잘못 들었다고 생각했었지만 구글링과 경제 공부를 하면서 '디스인플레이션 (Disinflation)'이라는 단어를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3/02/02/ZP6MJUH3FFFHFIXR3OIHSNEZRE/ 美 연준, 금리 0.25%p 인상…파월 “디스인플레이션 시작” 美 연준, 금리 0.25%p 인상파월 디스인플레이션 시작 파월 물가 둔화됐지만 아직 높은 수준 추가 인상 시사 두어 번 더 인상 연내 금리인하는 시기상조 일축 시장 긴축 마무리 단계 환호 한·미 금 bi.. 2023. 2. 18. [경제 용어] (7) PPI (생산자 물가 지수) 미국 시간 기준으로 올해 2월 16일 미국 노동부에서 PPI (Producer price Index)를 발표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6.0%가 결과로 나왔습니다. 이 영향으로 주식시장이 한동안 변화가 있었는데 현재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시대인 만큼 PPI 역시 이전 CPI와 마찬가지로 경제 흐름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1. PPI 란? PPI(Producer price Index = 생산자 물가 지수)는 생산자가 판매 한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평균 변화 측정값이며 미국 노동 통계국 (BLS) 생산자 물가 지수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이며 매월 출시됩니다. 요약하자면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전에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CPI와는 다르게 PPI는 생활비 나 소비재 가격을 측.. 2023. 2. 18. [경제 용어] (6) 양적 긴축 (Quantitative Tightening) 경제 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양적 완화' 또는 '양적 긴축'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에 대해 알아보면서 양적 긴축을 왜 수행해야 하는지, 그리고 양적 긴축 시행했던 과거 역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양적 긴축 (Quantitative Tightening)이란? 양적 긴축 (Quantitative Tightening)의 사전적 의미는 중앙은행이 매입한 채권의 만기가 다가왔을 때 재투자하지 않거나, 보유하던 채권을 만기 전에 매각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것을 뜻합니다. 출처: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15333 한경닷컴 사전 양적긴축 [Quantitative Tighten.. 2023. 1. 5. [경제 용어] (1) CPI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작년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의 파월 연준 의장이 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로 인해 경기 활성화를 회복하기 위하여 양적완화에 따른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연속적으로 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 물가상승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CPI (Consumer Price Index =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입니다. 1. CPI 란? CPI는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와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또한 이 CPI의 변동률로 인플레이션을 측정할 수 있으며 급여, 봉급, 연금, 물가를 연동시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조정 또한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B%B9%84%EC%9E%90_%EB%AC%B.. 2022. 11. 1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